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

스로틀 바디의 역사와 미래, 케이블식에서 드라이브-바이-와이어·토크 오케스트레이션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스로틀 바디는 운전자의 페달 입력을 공기 유량으로 바꾸는 ‘엔진의 목’입니다. 카뷰레터·TBI(스로틀 바디 분사)에서 출발해, 케이블식 버터플라이와 아이들 컨트롤(IAC), 전자식 스로틀(ETC/DBW)·이중 TPS·리던던시, 배출·NVH·안전 규제 속에서 토크 요구를 정밀하게 조율하도록 진화했습니다. 오늘은 가변 밸브·과급·점화·연료 분사와 한 몸처럼 움직이는 토크 오케스트레이션의 허브이며, 내연기관의 마지막 구간 최적화와 함께 하이브리드·수소 ICE·소프트웨어 정의 제어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제어→유지관리→미래 로드맵을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공기·토크·배출의 스로틀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스로틀 바디스로틀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튜닝·ODD별 스로틀 전략공기.. 2025. 8. 24.
연료 레일(커먼레일)의 역사와 미래, 메카니컬 분사에서 초고압·수소 직분사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연료 레일은 인젝터에 안정된 압력과 균일한 분배를 제공하는 저장·댐핑·센서 허브입니다. 카뷰레터/분배 펌프 시대를 지나, 가솔린은 TBI/MPI(저압 알루 레일)→GDI(고압 스테인리스 레일)로, 디젤은 배분 펌프/유니트 인젝터에서 커먼레일(초고압·다중 분사)로 전환했습니다. 오늘의 레일은 고압펌프·IMV/PCV·압력센서·어큐뮬레이터·리턴 라인과 조합되어 배출/성능/연비를 동시에 만족시키며, 다음 10년은 500bar급 GDI·3000bar급 디젤·센서 융합형 스마트 레일·수소 ICE 레일로 확장됩니다. 본 글은 역사→구조·제어→유지관리→미래 로드맵을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저장·댐핑·분배·센싱의 네 가지 역할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연료 레일/커먼레일레일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연료·차종·규제.. 2025. 8. 24.
연료 인젝터의 역사와 미래, 카뷰레터에서 GDI·피에조·수소 직분사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연료 인젝터는 ‘얼마나·언제·어디에’ 연료를 분사할지를 정밀하게 다루는 부품입니다. 스로틀 바디 분사(TBI)·포트 분사(MPI)에서 출발해, 가솔린 직분사(GDI)·듀얼 인젝션(MPI+GDI), 디젤 커먼레일 초고압 분사(솔레노이드/피에조), CNG/LPG 기체 인젝션까지 분사압·노즐·구동 소자·분사 전략이 고도화되어 배출·성능·연비를 동시에 끌어올렸습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동작→유지관리→미래 로드맵을 연대기와 사용 시나리오로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분사량·시기·분무 패턴의 삼박자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연료 인젝터의 과거·현재·미래인젝터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연료·차종·튜닝 수준별 인젝터 전략분사량·시기·분무 패턴의 삼박자연료 분사의 품질은 분사량(도즈/유량), 분사 시기(크랭크 각·다.. 2025. 8. 22.
점화플러그·점화코일의 역사와 미래, 디스트리뷰터에서 플라즈마·예측 점화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가솔린 엔진의 ‘불꽃’은 연소 품질·효율·내구를 좌우합니다. 초기 디스트리뷰터+단일 코일·니켈 플러그에서, 다이렉트 점화(DIS)·코일팩·코일온플러그(COP)와 백금/이리듐 극세 전극, 저항(R) 플러그·프로젝트 노즈·정밀 갭, 이온센싱·멀티스파크·노크 제어까지—점화 시스템은 고압·고온·고EGR·고부스트 시대를 견디도록 진화했습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동작→유지관리→미래 로드맵을 연대기와 사용 시나리오로 정리했습니다. 목차서론|불꽃·혼합기·타이밍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플러그·코일의 과거·현재·미래점화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연료·튜닝 수준별 점화 전략불꽃·혼합기·타이밍의 삼각형점화 시스템의 목적은 정확한 시점(크랭크 각), 충분한 에너지(코일 저장·방전), 안정한 전극 환경(열가·갭.. 2025. 8. 22.
알터네이터(발전기)의 역사와 미래, 직류 발전기에서 48V ISG·액티브 정류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자동차 ‘전기 생태계’의 심장은 알터네이터입니다. 과거 직류 다이너모에서 시작해, 오늘의 12V 클로 폴(룬델) 동기 발전기와 내부 레귤레이터·정류 다이오드·오버러닝 풀리(OAP/OAD)로 진화했고, 스마트 충전(LIN/PCM 제어·IBS 연동)·회생 충전(Coasting)·EFB/AGM 배터리 최적화가 보편화되었습니다. 전동화 시대엔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의 BSG/ISG가 전통 알터네이터를 대체하고, 순수 EV는 고전압→12V DC/DC 컨버터가 발전기 역할을 맡습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제어·유지관리·미래 로드맵을 연대기와 사용 시나리오로 정리 하였습니다. 목차서론|‘전기 생산–분배–저장’의 중심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알터네이터의 과거·현재·미래알터네이터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전장.. 2025. 8. 21.
스타터 모터(ICE)의 역사와 미래, 핸드 크랭크에서 48V ISG·소프트웨어 ‘퀵 스타트’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시동 모터는 내연기관을 첫 폭발까지 끌어올리는 ‘첫 한 바퀴’의 주연입니다. 핸드 크랭크·관성식 벤딕스 드라이브에서, 프리인게이즈드(솔레노이드)·감속기어 타입, 영구자석(PM) 모터와 고내열 사양, 스타트-스톱 대응 강화형, 12V를 넘어 48V 벨트 스타터-제너레이터(BSG)·통합 스타터-제너레이터(ISG)까지—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함께 진화해 왔습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동작→유지관리→미래 로드맵을 연대기와 사용 시나리오로 정리했습니다.목차서론|‘첫 회전’을 책임지는 전기·기계·제어의 삼중주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스타터 모터의 과거·현재·미래스타터 기술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운행 환경별 시동 시스템 전략‘첫 회전’을 책임지는 전기·기계·제어의 삼중주스타터 시스템은 전원(12/24/48.. 2025.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