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 타이밍 벨트/체인의 역사와 미래, 기어·롤러체인에서 BIO(오일침적 벨트)·저소음 사일런트체인·예측 유지보수·캠리스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크랭크축의 회전을 캠축으로 정확히 전달하는 타이밍 구동은 엔진의 ‘박자’를 결정합니다. 초기 톱니 기어·롤러체인에서 1970–90년대 타이밍 벨트 대중화, 2000년대 체인 회귀와 가변밸브(VVT) 페이저 통합, 최근 오일침적(BIO) 벨트·저마찰 사일런트체인·예측진단까지—소음/마찰/내구/정비성의 타협이 진화했습니다. 이 글은 역사→구성/동작→고장·정비→미래 로드맵을 연대기를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정확도·마찰·내구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타이밍 벨트/체인타이밍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연료·운용 환경별 타이밍 전략정확도·마찰·내구의 삼각형타이밍 구동의 목표는 위상 정확도(캠–크랭크 상관), 낮은 마찰/소음, 장기 내구입니다. 구성은 구동원(크랭크 스프로킷/풀리), 피구동(캠 스프로.. 2025. 9. 2. EVAP 캐니스터·퍼지밸브의 역사와 미래, 진공식 통기에서 OBD-II 누설진단·ORVR·하이브리드·예측형 퍼지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EVAP(증발가스 제어) 시스템은 연료 증발로 생기는 탄화수소(HC)를 활성탄 캐니스터에 흡착·저장했다가, 주행 중 퍼지 밸브로 연소실로 보내 태워 없애는 장치입니다. 1970~80년대 단순 통기·진공식 퍼지에서 출발해, OBD-II 누설 진단(0.020/0.040″ 등가 오리피스), ORVR(주유 중 증기 회수), 전자식 퍼지 PWM 제어, 캐니스터 클로즈/벤트 밸브, 탱크 압력 센서로 고도화되었습니다. 하이브리드/PHEV 시대에는 엔진 정지 시간이 길어져 밀폐 탱크·능동 퍼지·예측 제어가 중요해졌습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동작→진단/정비→미래 로드맵을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증발·흡착·퍼지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EVAPEVAP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연료·운행 패턴별 EVA.. 2025. 8. 29. EGR 밸브·쿨러의 역사와 미래, 진공식 포핏에서 전자식·LP-EGR·예측형 NOx 제어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EGR(Exhaust Gas Recirculation)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로 되돌려 연소 온도를 낮추고 NOx를 줄이는 핵심 기술입니다. 가솔린·디젤 모두에서 진공식 포핏 밸브와 단순 바이패스에서 출발해, 전자식 리니어 EGR·쿨러 바이패스·고압(HP)·저압(LP) 루프·VGT·스로틀 협조로 정밀해졌고, 다운사이징·GDI·SCR/DPF 시대와 함께 배출–연비–내구 균형을 재정의했습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제어→정비→미래 로드맵을 연대기와 시나리오로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연소 온도·산소 농도·유량 제어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EGR 밸브·쿨러EGR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연료·운행 환경별 EGR 전략연소 온도·산소 농도·유량 제어의 삼각형EGR의 목적은 연소실의 피크 온도를.. 2025. 8. 29. 산소센서(O₂/람다)의 역사와 미래, 광대역 A/F·디지털화·수소/합성연료 대응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산소센서는 배기가스의 산소 농도로 연소 상태(람다 λ)를 읽어, 연료 분사·점화를 닫힌루프 제어하고 촉매를 보호하는 파워트레인의 핵심 센서입니다. 1970–80년대 지르코니아 협대역(스위칭) O₂로 시작해, 히티드(Heated)·플래너(Planar) 소형화, 광대역 A/F(UEGO)로 확장되었고, 오늘은 상류(센서1) 연료제어와 하류(센서2) 촉매감시·OBD를 동시에 책임집니다. 다음 10년은 디지털 출력·예지진단·수소/전자연료 대응, 고온·수분 충격에 강한 소자와 모델 기반 제어로 진화합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동작→진단/정비→미래 로드맵을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람다(λ)·연료트림·촉매 보호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산소센서산소센서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연료·튜닝별 센서 전략.. 2025. 8. 27. 배기 매니폴드의 역사와 미래, 주철 로그형에서 펄스 튠드 헤더·통합형(IEM)·AM(적층제조)·예측형 열관리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배기 매니폴드는 실린더에서 나온 배기가스를 모아 촉매/터빈으로 이끄는 유동·열·내구의 핵심 부품입니다. 초창기 주철 로그(Log)형에서, 자연흡기 성능을 위한 튜블러 헤더(4-1/4-2-1), 터보용 펄스 보존 로지크와 트윈스크롤, 최근의 실린더헤드 일체형(Integrated Exhaust Manifold, IEM)·워터재킷형·핫-V까지—배출·응답·열관리 요구에 맞춰 아키텍처가 크게 변했습니다. 이 글은 역사→핵심 구조·재료·열관리→정비→미래 로드맵을 연대기·시나리오로 정리한 글 입니다.목차서론|유동·열·내구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배기 매니폴드배기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용도별 배기 전략유동·열·내구의 삼각형배기 매니폴드의 목적은 펄스 간섭 최소화(충전 효율), 촉매 워밍업/온도 유.. 2025. 8. 27. 흡기 매니폴드의 역사와 미래, 로깅형에서 가변 러너·iCAC·적층제조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흡기 매니폴드는 실린더에 균일하고 ‘맞는 타이밍’의 공기를 보내는 통로입니다. 초기 주철 로깅(Log) 매니폴드와 카뷰레터 시절을 지나, 포트 분사(MPI) 확산과 함께 플레넘–러너 길이 튠, 가변 길이(VIS/IMRC), 스월/텀블 밸브, 플라스틱(컴포짓) 경량화가 표준이 됐습니다. 다운사이징 터보 시대에는 짧은 러너·저체적·흡기 매니폴드 일체형 수랭 인터쿨러(iCAC)가 보급되었고, 지금은 센서·구동기·EGR/PCV를 통합한 흡기 플랫폼으로 진화 중입니다. 이 글은 역사→핵심 구조·제어→정비→미래 로드맵을 연대기와 사용 시나리오로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유량·응답·균일도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흡기 매니폴드흡기 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연료·튜닝별 흡기 전략유량·응답·균일도의 삼.. 2025. 8. 26.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