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6 CV 조인트(등속조인트)의 역사와 미래, Rzeppa·Birfield·트라이포드에서 고각·저마찰·스마트 센서·e-액슬 최적화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CV(Constant Velocity) 조인트는 서스펜션 스트로크·조향 각도·구동 토크가 동시에 변하는 상황에서도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전달하는 구동축(반축)의 핵심 관절입니다. 초기 Rzeppa(6볼)·Birfield·트라이포드에서 출발해, 플런지 기능·더블 오프셋(DOJ)·고각형 하이앵글로 진화했고, 오늘은 부츠·그리스·가공 공차와 진동(NVH) 최적화가 성능을 가릅니다. 다음 10년은 EV 고토크·토크리플 대응, 저마찰 부츠/저투과 그리스, 센서 내장형 CBM, 경량 복합재 샤프트와의 통합이 키워드입니다. 본 글은 역사→구조/동작→진단/정비→미래 로드맵을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각도·플런지·윤활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CV 조인트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용도별 조인트 전략각도·.. 2025. 9. 19. 트랜스퍼 케이스(4WD)의 역사와 미래, 기어식/체인식에서 전자식 멀티플레이트·토크 벡터링·예측형 온디맨드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트랜스퍼 케이스는 엔진·변속기 출력(또는 PTU)에서 앞·뒤 차축으로 토크를 배분하고, 필요하면 로우레인지(감속)를 제공하는 4WD의 심장입니다. 초기 기어식 파트타임(2H/4H/4L·수동 레버)에서 체인 구동·싱크로나이저·풀타임(센터 디퍼렌셜)·점성/토센/TBR을 거쳐, 오늘은 전자유압 멀티플레이트 클러치 기반의 오토 4WD·토크 온 디맨드가 보편입니다. 다음 10년은 디스커넥트·예측 제어·소프트웨어 토크 벡터링·하이브리드 통합이 핵심이 될 전망입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제어→정비→미래 로드맵을 연대기와 사용 시나리오로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배분·감속·효율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트랜스퍼 케이스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용도별 4WD 전략배분·감속·효율의 삼각형트랜스퍼 케이스의 .. 2025. 9. 19. 프로펠러 샤프트(후륜·4WD)의 역사와 미래, 핫치키스·토크튜브에서 더블 카단·CV·카본 복합재·능동형 디스커넥트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프로펠러 샤프트(드라이브 샤프트)는 엔진/미션(또는 PTU/트랜스퍼)에서 차축 디퍼렌셜로 토크를 전달하는 회전 축입니다. 초기 토크튜브와 핫치키스(오픈 타입)에서 출발해, U조인트(카단)·더블 카단·CV 조인트, 2피스+센터 베어링으로 진동/각도 문제를 해결해 왔습니다. 현대는 알루·카본 복합재·밸런스 댐퍼·능동 디스커넥트·예지진단으로 고속·저소음·연비를 모두 잡는 방향으로 진화 중입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각도/진동→정비/튜닝→미래 로드맵을 연대기와 사용 시나리오로 정리한 글 입니다.목차서론|각도·강성·밸런스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프로펠러 샤프트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용도별 드라이브라인 전략각도·강성·밸런스의 삼각형드라이브라인 설계의 핵심은 조인트 각도(동상/비동상), 축 강성/임.. 2025. 9. 18. 클러치(수동)·토크컨버터(AT)의 역사와 미래, 콘 클러치에서 다이어프램·SAC/DMF, 유체 커플링에서 락업·예측형 TCC·전동 통합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수동변속기의 마찰 클러치와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는 엔진 토크를 ‘언제, 얼마나 부드럽게’ 구동계에 연결할지 결정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자동차 초창기 콘(원추)·멀티디스크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 단판, 셀프 어저스트 클러치(SAC)·듀얼매스 플라이휠(DMF)로 진화했고, AT는 유체 커플링을 거쳐 토크컨버터(펌프–터빈–스테이터)와 락업 클러치(TCC)의 정밀 제어로 연비와 NVH를 잡았습니다. 다음 10년은 예측형 제어·저점도 유압·전동화 통합(48V/풀하이브리드)·상태기반정비(CBM)가 카테고리 경계를 흐릴 것입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동작→정비→미래 로드맵을 비대면 수리/튜닝 팁까지 담아 정리한 글 입니다.목차서론|연결 품질·진동(NVH)·효율의 삼각형본론A|수동 클러치: 연대기와 기술본론B|토크컨버.. 2025. 9. 18. 플라이휠(듀얼매스 포함)의 역사와 미래, 솔리드에서 듀얼매스·CPA(추진추 감쇠)·예측형 NVH 제어·하이브리드 연동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플라이휠은 크랭크의 각속도 요철을 완화해 아이들 안정·변속 품질을 높이는 엔진–구동계의 관성 허브입니다. 초기 솔리드 플라이휠은 무게로 진동을 눌렀고, 터보디젤·다운스피딩 시대엔 듀얼매스 플라이휠(DMF)이 스프링·마찰로 비틀림을 흡수했습니다. 최근엔 CPA(centrifugal pendulum absorber)·셀프 어저스트 클러치(SAC)와 결합해 NVH를 더 낮추며, 스톱/스타트·48V·DCT·하이브리드와의 협조가 중요해졌습니다. 이 글은 역사→구조/동작→정비/튜닝→미래 로드맵을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관성·비틀림 감쇠·동력 연결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플라이휠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용도별 플라이휠 전략관성·비틀림 감쇠·동력 연결의 삼각형플라이휠 설계 목표는 엔진 토크 펄스의.. 2025. 9. 16. 캠·크랭크 위치 센서의 역사와 미래, 기계식 배전기에서 VR·홀·AMR/TMR·디지털 인터페이스·예지진단까지 한눈에 읽는 종합 가이드 캠(CMP)·크랭크(CKP) 위치 센서는 엔진 제어의 ‘제로점’입니다. 점화·분사·VVT·미스파이어 진단까지 모두 이 신호에 의존하죠. 기계식 배전기·접점에서 출발해, 자기유도(Variable Reluctance, VR) 픽업·홀 효과(Hall)·자기저항(AMR/GMR/TMR)으로 소형·고정밀화했고, 결손 톱니(예: 60-2/36-1) 휠과 위상용 캠 트리거로 고속 동기화를 이뤘습니다. 다음 10년은 디지털 출력(SENT/PSI5), 이중화·자가진단, 스톱/스타트 초고속 재동기, 예측 유지보수가 핵심이 될 전망입니다. 이 글은 역사→원리/패턴→진단/정비→미래 로드맵을 정리한 글 입니다. 목차서론|동기·해상도·신뢰성의 삼각형본론|연대기와 기술로 읽는 캠·크랭크 위치 센서전환점 요약 표FAQ결론|차종·운행 .. 2025. 9. 16.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